교회음향 시스템의 이해

교회음향 시스템의 이해

 

개요

 

교회음향시스템이라 하면 쉽게는 값비싼 오디오장비를 구입하는 것으로 모든 것이 끝나는 것으로 알고 있는 경우가 많다. 그것은 건축으로 말하면 단지 하나의 자재이고 비품일 뿐이며 교회재정 능력에만 희비(喜悲)가 비례할 뿐이다.

 

더 중요한 것은 엔지니어링(시공)이고, 가장 중요한 것은 디자인이다. 국내사정상 대체로 오디오 장비를 수입하거나 판매 취급하는 회사로부터 오디오 설치공급에 관한 제안을 받는 경우들이고, 다른 양상으로는 사운드시스템 임대회사로부터 제안 받거나 설치하는 경우도 많다.

 

그렇다면 교회, 즉 예배당의 사운드 시스템 디자인은 어떤 이해와 목표를 가지고 완성해야 하는지에 대해서 깊은 이해가 필요하다.

 

예배당 사운드 시스템과 강당 시스템이 같지 않는 이유

 

교회음향은 다목적 홀과의 사운드시스템 운영면에서 분명 차이가 있다.이 차이를 이해 못하면 교회 음향도 세상 속에 다양한 다목적 공간으로 밖에 해석될 수 없을 것이다.

 

우선 가장 중요한 것은 믿음의 공동체이기 때문에 예배당은 하나님을 만나서 말씀을 듣는 곳으로서 음성의 명료도를 빼놓고선 얘기할 수 없는 것이다.같은 공간에서 다양한 예배 프로그램이 진행되기 때문에 각자의 입장도 남아있는 것이다.

 

일반 공연장처럼 무대와 관객이 분명이 구분되는 그런 환경이 절대 아니다. 주인공과 관객이 따로 구분되지 않는다. 예배에 참석한 교인 모두가 주인공인 것이다. 일방적으로 듣고 웃고 박수치는 그런 강연장이 아니다. 말씀을 듣고 이해와 깨달음으로 믿음의 도약을 갖게 되고, 그것에 발로로 찬양을 드리게 된다.적어도 예배당 안에서는 음향적으로 모두에게 유기적 이여야 한다. 목회자, 성가대, 찬양 단, 독주, 중창, 오르간, 피아노, 회중찬양 이 모두가 독립적일 수 없는 것이다.

 

예배당 공간에서 소리적으로 친밀감과 유기적인 것이 무엇인지를 분명히 이해할 필요가 있다. 백 번을 강조해도 부족함이 없는 것이 음성 재생 명료도 이다. 따라서 예배당 사운드시스템은 명료도에 위배되는 어떤 시스템형태도 최상의 선택으로는 선택해서는 안 된다.

 

예배당 사운드 시스템이 이동용 시스템과 같지 않는 이유

 

예배당에 설치하는 사운드시스템과 이동설치 용 임대장비 같은 시스템을 같은 것으로 보면 안 된다는 것이다. 다음과 같은 것이 이동용 시스템의 특징 인데 고정설치와 비교하면 여러 가지로 상황이 맞지 않는다.  우선예산부터가 문제이고 용도 면에서도 맞지 않으며 세심한 배려와 섬세한 디자인을 무시하는 염려를 빼놓을 수없다.

 

그 증거들이 다음과 같다.

 

이동용 시스템의 특징 (Array, Line Array)

 

이동용 시스템은 주로 공연이나 이벤트를 대상으로 장비 임대 회사로부터 공급되고 사용된다.

 

대상으로 하는 장소는 운동장, 체육관, 강당, 둔치, 백사장, 등에서 사용된다.

 

대상으로 하는 프로그램은 비정규적인 이벤트, 댄스파티, 락 콘서트, 판촉 이벤트 등, 전문 오퍼레이터에 의해서 운영되며, 전천후(춥고 덥고 습해도 견딜 수 있는 밀리터리 마인드) 장비를 선정해야 한다.

 

쉽게 빠르게 설치하고 해체해야 한다. 상업적으로 사용됨으로 보여 지는 것에 비중이 있다.

 

포괄적인 시스템디자인보다 단조로운 시스템 디자인이 요구된다.

 

청취범위의 좌석을 임의로 설정한다.

 

공간음향을 활용하지 않기 때문에 모니터 쪽의 장비 비중이 높다.

 

음향장애(애코 / 과다한 잔향 / 정현파)를 무시한다.

 

직접음 만으로 음량을 충족한다.

 

잠재 음향이득을 크게 활용하지 않는다.

 

결론은 이동용 시스템의 화려함만 따르다보면 잃는 것이 더 많다는 것이다.

 

사운드 시스템과 예배당 공간의 음향적 함수

 

일찍이 언급했듯이 사운드시스템은 한강 둔치나, 해운대 모래백사장에서 운영하는 것과 실내건축 공간에서 운영되는 것에는 많은 능력에 차이를 보여준다.

 

쉽게 말하면 건축공간 안에서는 사운드시스템이 공간과 대입되어 성능상의 제한을 갖고 있다는 것이다.

 

우리가 흔히 경험하는 GBF Margin문제, Comb Filtering (10mm sec 이내에서 직접 음끼리 혹은 직접 음과 간접음이 만나서 생기는 빗 모양의 Peak 와 Null현상) 문제, Standing Wave문제 등은 항상 오디오의 성능을 제한한다.

 

그렇다면 건축적인 음향의 이해의 폭이 깊은 디자이너 일수록 적절한 성능 균형의 일치를 유도할 수 있을 것이다. 그것은 예산대비 성능을 높이는데 아주 탁월한 결론에 이르게 된다.

 

공간음향특성이 중요한 예배프로그램들

 

음원들을 합리화하기 위해서는 예배당 공간을 사운드 시스템 최적 공간으로만 만들 수 없는 이유를 확실히 이해해야 한다.

 

다시 말하면 사운드시스템에 의존하지 않는 프로그램도 생각해서 공간을 만들 수밖에 없다는 것이다. 예배공간의 음향품질을 사운드시스템에만 의존하는 편협된 생각을 가져서는 안 되는 것이다.

 

극명한 예로 성가대, 협주 단, 오르간, 중창, 회중찬양 등은 실제로 사운드시스템의존도가 거의 없는 찬양프로그램 이지만 사실상 예배에서는절대적인 비중을 차지한다. 이런 프로그램의 음향을 최적화하기 위해선 건축음향을 합리화해야 하고 그것은 사운드시스템의 설계의도가 동참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서로 도와주는 균형적인 디자인 능력을 가져야 한다.

 

결론

 

결론은 교회 건축음향과 사운드시스템이 독립적으로 무관하게 설계되어서는 많은 효율을 누리지 못하며 동시에 시간과 에너지 낭비를 초래함과 동시에 예산의 낭비를 가져오게 될 것이다.

 

미국 교회음향연대(CSN)의 권고안에 의하면 교회사운드시스템과 교회 공간(건축)음향은 반드시 동일주체(主體)에 의해서 이루어져야 한다는 것이다.

 

예산의 합리적인 입장을 취하고 교회의 판단에 혼선을 겪지 않으며, 성공적인 음향에 이르는 것이다.

 

 

 

| 바커스틱 코리아 실제시공 |

방문자수

오늘:
534
어제:
856
전체:
983,2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