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회 사운드 시스템설계
예 스피커 시스템 디자인/ Speaker System Type Design
스피커시스템의 형태를 결정하는 문제이다. 예를들면 집중형(Point Source),Mono, L/R, L/R Stereo, L/C/R, 등.. 다양한 형태를 연상할 수 있지만 분명한 것은 어느 교회이든지 항상 똑 같은 입장으로 디자인할 수 없다는 것이다.
교회의 예배형태에 따라서도 건축음향의 환경에 따라서도 얼마 듣지 디자인 형태를 다양화해야 한다. 교회의 예배프로그램에 관한 분석도 충분해야 하고 예배당공간이 건축음향 적으로 어떤 입장으로 완성될지를 예측하는 것도 시스템을 결정하는데 아주 중요한 요소이다.
스피커시스템 배치디자인 / Speaker Coverage
스피커 시스템 배치는 사운드 시스템디자인에서 가장 중요한 결정 중에 하나이다. 배치가 적절치 않으면 극심한 음향장해(에코,피드백 등)를 겪게 되기도한다. 이런저런 이유로 교회는 음향적으로 이상적인 건축을 보장할 수 없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음향적으로 건축적인 한계를 인식하고 스피커시스템 배치의 문제를 신중하게 고려해야 한다.
스피커시스템 설치디자인 / Rigging & Aiming
스피커시스템을 설치하는데 가장 중요한 것은 안전과 신축성이다. 건축으로부터 중량의 안전도를 확보해야 하고 쓰여지는 각종하드웨어의 용량과 품질의 지속성을 충분히 점검해야 한다.
1. 시간이 가면서 초기품질의 변형이 와서는 안 된다.
2. 또한 언제라도 상하좌우 조정이 가능하여 조준의 순발력을 갖게 해야 한다.
3. 필요시에 점검이나 부품교환이 가능하도록 탈착이 가능하게 해야한다.
설계자와 시공자가 같은 경우에 그다지 안정적인 결과의 성립이 불가능할 수도 있음을 간과해서는 안 된다.
음성 명료도 확보 / Speech Intelligibility
교회음향시스템은 일반 사운드시스템과 달리 음성의 명료도 면에서는 충분한 입장이 필요하다. 음성 명료도는 시스템의 선호도(선호하는 브랜드)와는 별도의 문제이다.
비록 저렴한 오디오라도 합리적인 디자인을 통해서 명료도 확보가 가능한데, 그것은 오디오 시스템 자체에만 해결(Solution)이 있는 것이 아니다.
무엇보다 음향의 물리적 법칙(Low of Physic)을 얼마나 적절히 이용하느냐에 관건이 있는 것이다. 특히 명료도 는 설교말씀을 정확히 듣고 이해함으로 서 믿음으로 굳어지는 가장 역할의 중심에 있고 교회음향이 다른 환경의 음향과 차별화 되는 척도이기도 하다.
음상 정위 실현 / Localization
소리는 기본적으로 소리가 발생하는 음원(Sound Source)의 위치에서 들려오는 것이 자연스럽다. 예배당의 사운드시스템도 이문제를 간과해서는 안 될 것이다.
설교 시 목회자의 위치에서 소리가 들려오는 것은 당연한 것이다. 만약 그렇지 않다면 자연스럽지 않은 것은 당연하고 장시간청취에 청취피곤도만 늘어나고 집중도는 떨어질 것이다. 과연 이런 입장을 잘 실천하여 교회음향을 완성한 교회가 주위에 얼마나 되는지 생각해 볼 필요가 있다.
음원 최적위치 확보 / Sweet Spot (Source)
교회음향시스템 디자인에서 매우 차원높은 기술 실현 중에 하나이다.
소리를 듣는 입장에서의 최적화가 아니라 소리를 들려주는 입장에서 음원(Source) 위치의 최적화를 말하는 것이다.
쉽게 이해가 안 되는 얘기 일수도 있겠지만. 스피커위치가 어디에 있느냐에 따라서 명료도나 음량이 최적화되는 이론적으론 설명하기 힘든 하나의 현상이다.
물론 어느 교회에서나 이런 최적현상이 보장되는 것은 아니다. 공간의 형태, 높이, 잔향 등 건축음향적인 환경이 이런 현상을 있게 해주는데 만약 있다면 조사해서 그렇게 설치해야 하는 중요한 과제이다. 매우 고급기술자로부터 가능한 음향기술 실현이다.
음 사각지대점검 / Dead Spot Control (Listener)
음의 사각지대는 특정한 청취점에서 음의 편차가 심한 정도를 말한다. 이유로서는 스피커시스템의 방식이나 스피커시스템의 커버리지를 잘못 설정했을 때 있을 수 있는 현상이며, 소리의 물리적인 현상을 거역하는 입장이 되는 것이다.
무리하게 음악위주로 사운드시스템을 디자인 하고 운영하려고 스피커 시스템을 군(Array)을 만들다 보면 스피치 명료도나 음압 부문에서는 얼마든지 음의 편차를 격을 수밖에 없는 것이다.
음압 분포도 +/- 3dB 확보/ Consistent SPL
천정이 낮거나, 사용하는 시스템이L/R(Stereo)시스템에서 흔히 나타나는 현상으로 앞 좌석의 음 압과 뒷좌석의 음 압이 큰 차이를 보여주는 경우이다.
앞 좌석은 음압이 무리할 정도로 높고, 뒤는 상대적으로 모자라는 경우들을 말하는 것이다.
이것 또한 시스템의 선호도가 아니라 디자인문제에서 실패했을 때 피할 수 없는 모순이다. 너무 많은 교회들이 이런 현상을 겪고 있다는 것이 숨길 수 없는 하나의 현실이다.
예GBF Margin (평균45cm / 최대75cm)
교회 음향 시스템이 하워링(Feed Back) 현상을 겪는 것이 장비의 값의 高下로 결정되는 문제라고 혹시 생각한다면 커다란 오산이다.
적당한 엔지니어의 솜씨로 모든 것이 커버된다고 생각하는 것도 또한 착오다.
오디오시스템은 일정 오디오적인 조정이 필요하지만 그것이 근본적인 문제를 벗어났을 땐 컨트롤이 불가능할 수도 있다.
음원끼리의 시간문제(Coincidence Problem)가 동기가 되지 않는다든가 음원끼리 위상간섭(Com Filter)을 겪게 한다든가 에코(Echo)나 정재파(Standing Wave)등에 노출된 오디오환경에선 우리가 원치 않는 하워링 현상을 겪을 수밖에 없는 것이다.
다시 말하면 우리가 원하는 음향적인 이득(Gain)을 얻기도 전에 하워링이 발생하는 것이다. 아마도 지금 사용하는 대다수의 예배당을 생각해보면 쉽게 이해를 할 수 있을 것이다.
저역 일치 디자인/ Sub Woofer Power Alley Control Design
음향시스템을 실내에서 사용하는 것과 실외에서 사용하는 것에서 오디오시스템의 입장은 사뭇다르다.
공연 전용으로 쓰는 사운드시스템(Line Array)은 조금은 입장이 다르지만 대부분의 일반 스피커군(Array) 을 저음의 불일치 즉 균열을 예배당 공간에서 흔히 만날 수 있는 현상이다.
열린예배 스타일의 찬양(CCM)에서는 무엇보다 펀치있는 저역(Bass Punch)이 강조된다.
많은 교회에서 이 문제를 해결하지 못 하는것 또한 현실이다. 결과적으로 저음스피커와 저음앰프에 투자한 투자 가치를 못 누리는 것이다.
시스템 디자인에서 실패하면 이런 현상을 피할 수 없는 것이다.
신호 대 잡음 비(Signal to Noise Ratio) 25dB 실현
신호대 잡음비는 사실 오디오의 단독 문제만은 아니다. 다만 오디오시스템 디자인에서 너무 많은 욕심(?)을 부릴 때 얼마 듣지 문제가 될 수 있는 것이다.
예를 들면 한 스피커군(Array)지점(Main Speaker Cluster)에서 모든 곳에 소리를 공급하려 했을 때 상대적으로 멀리 보내야 하는 스피커시스템의 출력은 높이 올라갈 수밖에 없기 때문에, 특히 중저역(Mid-Low)의 음들을 주변에 많이 뿌리게 된다. 이로서 이런 음들은 또 하나의 실내 잡음요소로 둔갑하고 결국 신호대 잡음비를 떨어뜨리는 결과가 될 것이다.
이는 사운드시스템의 설계에서 욕심(큰 출력, 큰 음압)이 자초하는 하나의 모순에 부메랑이라고 할 수도 있다.
System Head Room 확보
사운드시스템의 운영의 여유분(Margin)은 분명 필요한 것이고, 장비적인 마진 이외에도 어쿠스틱 적인 것들이 도와줘야 하는 여유분이 더 크다는 사실도 이해해야 한다. 어느 한쪽에 일관된 생각과 투자가 결국 낭비가 될 수 있음을 인식해야 한다.
오디오 장비 선정 기준제시
건축에서 건축가나 건축사가 직접 건축시공을 하거나 실내건축시공을 하지 않듯이, 시공자가 설계하고 자신의 시공을 감리한다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은 아니지만 이상적인 건 못될 수 있다. 오디오장비의 공급자는 장비의 공급체계에 한계를 둘 수 밖에 없기 때문에 스스로 장비선정에서 객관적일 수 없는 것이다. 장비와 이권이 없는 입장에서 언제나 객관적일 수 있고 보편타당하고 검증된 제품을 고객의 입장에서 합리화 할 수 있는 것이다.
오디오 장비선정 평가
교회와 사운드시스템의 형태나 규모 설치디자인에 특성 실행 가능한 예산범위 등을 충분히 검토하고 결정하여, 그 기준을 포괄적으로 제시하고 여러 시공 공급업체에게 입찰참여를 유도하는 것이다. 사실상 특정 장비를 규격화 하거나 명시했을 때는, 다양한 많은 업체가 참여하지 않는 모순도 있다.
다양한 업체들이 다양한 형태로 참여하게 유도하는 것은 교회로서 매우 이득이 큰 것이다. 이때부터 교회는 예산을 컨설팅회사는 시공능력과 장비의 객관성 등을 면밀히 분석하여 평가 선정하는 지혜가 필요하다.
사운드 시스템 조정위치 합리화
일정 수준을 갖춘 시공회사나 장비임대업을 하는 회사는 조정 위치에 대한 깊은 고려가 있겠지만, 그나마도 많은 다수의 납품시공회사는 그의 미를 잘 파악하지 못한다. 파악한다 하더라도 그의 미가 어느 정도인지 모르고 충분히 주장해서 교회 측에 납득시키려 하지도 않는다.
이것은 추후에 교회음향시스템을 운영하는데 순발력을 갖지 못하게 할 뿐더러 교회가 인식을 하고 난 후에는 후회하게 되고 또한 개선을 위해선 추가경비가 요구될 것이다.
배관 배선도
프로 사운드 시스템의 신호 체계는 가정용 오디오와 달리 매우 척박한 환경에서 적응해야 함으로 전기적인 신호에너지를 안정적으로 운영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고급 오디오 기술자들은 다음과 같은 신호체계의 문제들을 잘 지키는 편이지만 전반적으로 다수가 잘 지킨다고는 보여지지 않는다. 사실상 몇 십년을 안정적으로 내다보고 배관배선 한다는 것은 그리 쉽지 않은 소신이기 때문인 것 같다.
공중파 신호의 간섭(RFI), 인접 자기장의 간섭(EMI), 조명으로부터의 간섭(HFI), 신호선로에서 역률의 간섭(Roofing) 접지(Ground )의 불균형 등을 고려할 수 있는 능력과 배려가 있어야만 한다.
장비배치도
장비배치는 매우 유기적이어야 하고 조정의 순발력을 고려한 동선을 충분히 확보해야 한다. 또한 장비들이 최대입력 즉 최대치 Load에 정상적인 컨디션을 유지할 수 있도록 장비룸의 온도상승을 억지할 수 있는 전천후 냉방을 유지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장기적으로 보관해도 기게 내부의 회로들이 부식되지 않도록 먼지나 습도 등에 적게 노출되도록 한다.
DSP 튜닝
소수의 고급오디오 엔지니어들이 충분한 이해를 갖고 잘 수행하는 것으로 알고 있지만 다수는 그렇지 못하다. 최근 10년 사이에 많은 다양한 DSP 장비들이 출시되었다. 하지만 안정성과 오디오 품질에 관한 것들이 검증되지 않은 것들도 많다.
소프트웨어적으로 기능만가졌다고 모두 품질이 같다고 생각하면 아주 큰 문제이다. DSP의 실효적인 운영을 위해서도 스피커시스템의 설치조건이 물리의 법칙(Low of physic)에 어긋나면 큰 효과를 거둘 수 없다는 것 또한 명심할 일이다.
A/V 전기 용량, 접지, 합리화
교회건축 내부의 미디어 공간에서 특히 본 예배당에서 전기에너지를 안정적으로 순수하게 공급하는 것은 음향, 영상시스템을 사용하는데는 가장 중요한 첫 관문이다. 또한 음향영상기기 들이 사용되는 최종터미널에 같은 회로의 전기를 공급하는 것 또한 매우 배려돼야 하는 문제이다.
많은 장비들을 켜고 끌 때 오디오적으로 문제를 일으키지 않도록 전원 순차 회로를 잘 설계하는 것 또한 중요하다.
이것들은 음향영상 엔지니어링 내부의 의지대로 실행할 수 있다지만. 이전 단계는 그렇지 않을 수도 있다.
일찍이 전기에너지의 안정성을 확보하고 순수성을 확보하기 위해서 면밀한 검토를 토대로 건축전기 쪽에서 변전실에서부터 용량, 선로, 독립접지 등을 확보할 수 있어야 한다. 충분한 지식과 의지가 있어야 한다. 소극적이여 서는 안 되는 것이다.
A/V 시공 사 시공능력평가
입찰을 했을 때 가장중요 한 것 중에 하나가 시공사의 능력을 평가하는 것이다. 먼저 시공사의 조력과 인력구성을 보아야 할 것이면 아무리 좋은 인력을 확보했다 하더라도 거리적으로 시간적으로 유격을 갖지 못한 업체는 성실성과 안전성이 모자랄 수 있다.
이런 것들이 적절하게 균형을 갖지 못하면 일의 효율이 반감되고 감리일정도 문제되거니와 감리비자체도 늘어날것이다. 품질 있는 감리의 능력을 빌어서 시공사를 선정하는 지혜가 요구된다.
시공업체설명회
시공업체가 선정되면 컨설팅 감리로부터 시공업체에게 각종 실시도면과 공사시 준수사항 들을 숙지할 수 있도록 교육시키고 도와주는 프로그램이다.
시공업체현장감리
시공업체가 선정되면 컨설팅 감리로부터 시공업체에게 각종 실시도면과 공사시 준수사항들을 숙지시킨 후 충분한 자질과 의지가 판단되면 감리일정도 조정하여 교회의 감리비 예산을 탄력적으로 운영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