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주 악기 연습실

독주악기 연습실

 

피아노, 바이올린, 첼로 등 개인연습이 가능한 공간을 말한다.

 

주변의 환경과의 소음 등을 고려하여 방음/차음의 기준을 충족해야하고 더 나아가서는 공간의 음향특성을 합리화 해야한다.

 

우선 공간이 작으면 음향적 왜곡현상이 두드러지므로 낮은 주파수 대역의 잔향 음을 처리하는데 충분히 과학적인 음향설계가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잔향의 균등함이 요구되는데, 이것은 공간의 특성상 항상 낮은 주파수대역이 잔향이 높으므로 그 균형을 추기 위해서는 고음(Treble)잔향을 늘려주고 저음(Bass) 잔향을 감쇄시켜야 한다.

 

또한 가급적 연습 때의 느낌과 공연에서의 느낌의 차이가 크지 않게 해줘야 한다. 작은 공간에서 연습할 때에, 왜곡된 음을 오래 듣게 되면 합주에서 본인의 모니터링에 이질감을 갖게 될 수 도 있으므로 자연스럽고 편안 한 심리를 갖지 못하게 되는 것이다.

 

방음의 중요성도 강조해야 하지만 오히려 그것보다 공간내부에 형성되는 소리의 특성이 더욱 강조되어야 한다. 앞서 여러 가지 공간의 형태에서 설명했지만 연습공간이 외부와의 소리의 단절 즉 방음 기능만을 가지는 것이 연습실의 기능으로서 전부가 아니라는 점의 인식이 절실하다.

본질은 연습을 통해서 연주자의 듣기능력이 달라지거나 왜곡되어서는 안 된다는 것이다.

 

교실 정도보다 작은 공간에서의 연습실에서는 항상 이와 같은 문제를 기술적으로 설계하는 것이 독주악기 연습실의 음향특성기준을 합리화하는 중요한 요점이다.

 

 

| 바커스틱 코리아 실제시공 |

방문자수

오늘:
471
어제:
856
전체:
983,19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