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축 공간 내부에서 발생하는 음향장애 요소들을 살펴보겠다.
건축 공간에서 소리는 가두어지게 되는데, 그로 인해서 발생하는 여러 가지 현상들을 만나게 된다. 그 현상들 중에는 우리가 공간에서 하려고 하는 프로그램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는 음향 장해요소들이 있는 것이다.
쉽게 지각되는 음향장해들로서는 ‘Flutter Echo’, ‘Slap Back Echo’, ‘Echo’ 등이 있다. 위의 현상들은 모두 청감으로 인지가 가능한 장해 현상들인데 음성을 전달하는데 명료도를 저하시키거나 음악적인 스펙트럼에 영향을주어 소리의 품질을 저하시키는 원인들로 분석된다.
건축 음향 디자인에선 이런 문제들을 디자인 단계에서 해결하는 능력이 필요하다. 위의 현상들은 건축 공간 내부의 구조형태와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다.
위에서 열거한 다양한 어떤 공간에서도 이런 음향장해 현상은 도움이 되지 않는다. 어떤 구조의 공간이 음향적으로 문제가 없는지, 더 나아가서 어떤 디자인이 음향적인 이득을 부여하는지를 건축 디자인 단계에서 고려해야 한다.
또한 좋은 시선(Sight Line)과 좌석 배치는 심리적으로 음향이득에 도움이 될 것이다. 물론 건축가는 건축음향 이론이 부족할 수 있다.
따라서 공연장이나 강당 같은 공용공간의 설계는 반드시 공간(건축)음향관련 전문 설계자문을 통해서 공간의 건축 설계가 완성될 수 있도록 설계자에게 요구해야 한다.
더 좋은 방법은 전문 공간(건축)음향 설계 컨설팅 폼을 선정해서 건축설계 단계에 참여 시키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