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간의 소리의 형성을 결정하는데 가장 기본이 되는 중요한 설계이다. 초기반사음 같은 잠재음향 이득을 극대화 할 수 있는, 가장 중요한 결정을 하는 단계이다. 역동적이고 활성도가 높은 느낌을 주도함으로 살아 숨 쉬는 소리를 보장하며,
음량(Loudness), 옆 방향 반사음효과(Lateral Efficiency), 음상정위(Localization) 등 전통적으로 공간음향에서 중시 되는 음향을 실현하는 단계이다.
공간(건축)음향 체적설계 / Room Volume
공간음향의 중요요소 중에서 가장 전통적이고 활용가치가 가장 많은 음향 효과인 잔향을 결정하는 설계이다. 잔향은 건축의 체적에 비례하고 흡음면적에 반비례함으로, 기본적으로 체적을 고려하는 것이 잔향의 체계를 실현하는데 가장 중요한 수순이다. 풍부하고 따스하고 자연스러운 느낌을 가져다주는 척도이고, 특히 고전적인 음악의 표현, 즉 피아노, 독창, 중창, 합창, 실내악, 관현악, 파이프오르간 등에는 필수적인 공간음향조건이다.
공간(건축)공간 시선설계 / Sight Line
청중이 무대의 연기나 연주를 감상하는 최적의 시선을 설계하는 잘 볼 수 있는 정도의 품질을 합리화 하는 설계이다. 무대와 좌석 간에 거리 각도높이 등의 균형을 근거로 최적을 이루게 된다. 보는 품질과 듣는 품질사이에서 매우 혼란스 러운 결정이기 때문에 더욱더 신중한 설계일수 밖에 없다. 더러는 객석과 무대가 양자 간에 시선을 합리화해야 하는 경 우도 있다. 즉, 관객입장에서뿐만 아니라 연기자나 강연자가 관객의 표정 등 상세함을 감지해서 연기나 강연에 반영하 는 경우에는 무대에서 관객을 관찰하는 복잡하지 않고 싶게 관찰할 수 있는 시선이 필요하다.
좌석배치제안 / Seat Arrangement
공연장이나 교회 등에서 좌석배치를 합리화 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수용인원 때문에 다소 좌석의 음향적 시선적 품 질이 차이가 있을 수는 있지만, 가급적 좌석 간에 품질의 차이를 줄이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공간내부에서 이동을 위한 동선을 합리화 하는 것도 중요하다. A B C D석 정도의 품질로 구분되는 것보다 A석 혹은 B석 정도로 좌석의 음향적 시 선적 편차가 심하지 않는 것이 좋다. 그 이외에도 좌석의 편안함과 좌석이 음향에 미치는 영향(사실상 좌석은 공간에서 필연적일 수밖에 없는 가장 큰 흡음원이다.) 또한 함께 평가 고려되어야 하는 것이다.
건축공간 잔향기준설정 / Ideal Reverberation
공간에서 잔향의 기준을 설정하는 데는 공간에서 이루어지는 프로그램의 기능적인 면에 기인한다. 어떤 프로그램을 ‘전용으로 할 것이냐’ 혹은 ‘다목적으로 운영 할 것이냐’도 또한 잔향기준을 세우는데 분명한 조건이다. 잔향을 물리량 으로 표현하는 시간개념의 단 단위 수치의 주파수 범위는 주로 음성기본주파수 범위로 표현하고 있다. 다만 중요한 것 은 기준으로 하려는 평균잔향 시간에 대응하는 주파수별 시간편차가 음성기본주파수 범위에서 상 하 25%정도의 편차 를 벗어나서는 좋지 않다. 균등한 잔향주기율을 공간에 합리화 하는 매우 중요한 설계이다.
건축공간 음향정보 가시화 / Prediction
건축공간이 실제 만들어지기 전에, 건축공간의 CAD데이터를 근거로 음향가시화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컴퓨터로 분석 예측하는 작업이다. 도표나 색 갈 물리량의 수치 또는 애니메이션 등을 표현 기법으로 사용하며 음성명료도(%ALcons, RASTI, STI, D50) 음 압(SPL) 분포도, 잔향 값 (RT60)외에도 다양한 음향 파라미터(Parameter)들을 예상해볼 수 있 다.
현실에서 꼭 절대적인 것은 아니지만 유용하게 사용하면 충분히 도움이 될 수도 있고, 특히 비전문인을 상대로 공간 을 가시화해서 필요한 음향작업들을 이슈화 하는 데는 역할이 매우 크다. 하지만 가시적인 것을 거짓 혹은 영업적으로 만 활용하는 것은 윤리규범(Canon of ethics)에 위배됨을 분명히 해둔다. 주관적인 평가나 표현이 한계가 있을 때 잘 활용하면 빠른 진전을 보 기도하며 실제로는 고급기술자가 디자인에 참조용으로 활용하는데 매우 유용하다.
건축공간 음향정보 가청화 / Auralization
음향정보 가시화 프로그램과 연동하여 가시화 프로그램에서 제시한 공간의 음향 파라미터(Parameter) 정보를 소리를 통해서 경험하게 하는 것이다. 현실과 꼭 같다고는 장담할 수는 없지만 활용하기에 따라서 유용한 프로그램이다.
건축공간견본 음향실험 / Scale Model
건축공간의 견본을 만드는 것은 음향적, 시선적 으로 매우 현실성이 있는 작업이다. 1:20 정도의 비율로 견본을 만들 면 최소한의 음향정보들을 유추하는데 실효적이다. 경우에 따라서 실질적으로 구조나 마감재질들을 실험해볼 수도 있 고. 음향정보들을 측정해서 필요한 예상데이터를 확보할 수 있다.
공간(건축)음향적 실내건축 디자인 / Interior Acoustics Design
음향적으로 배려된 건축설계라면 실내 음향구조면에서는 크게 새로운 고려를 하지 않겠지만, 그렇지 않은 경우라면 사정이 다르다. 음향적으로 취약한 건축구조를 실내건축에서 보정할 수 있는 확률이 많기 때문이다. 건축구조가 갖고 있는 음향적 장해를 해결하는 것은 기본이고 음향적인 품질을 높이는 구조를 설계하는 작업이다. 또한 음향설계에서 제 시하는 마감재를 표기하거나 미적인 마감작업을 위해서 재료마감의 허용한도를 표현하는 작업이기도 하다.
조정실환경 디자인 / Production Room Design
주어진 조정실공간에서 단독 혹은 복합적(오디오 비디오 조명 등)공간으로 사용하는데 가장 능률적이고 효율적인 공 간이 될 수 있도록, 동선이나 음향, 차음 등을 건축 음향적으로 합리화하는 설계이다. 조정실을 프로덕션 환경으로 함께 쓰는 공간은 내부모니터링의 중요성이 강조됨으로 조정실 내부의 모니터링 환경을 충족 시켜줘야 한다.
합창연습실 인테리어음향 디자인 / Choir Rehearsal Room
합창 연습실은 가급적 공연공간에서 노래하는 느낌과 너무 커다란 차이를 느끼지 않도록 설계하는 것이 중요하다. 비 교적 작은 룸에서 연습하게 됨으로 대 공간과의 공간적 소리느낌이 차이 나는 것은 당연한 것이다. 연습할 때의 느낌과 본 공연장의 느낌의 차이에서 오는 정서적 불안을 극복함과 동시에, 서로의 하모니의 모니터링을 극대화 하는 것이다.
악기연습실 인테리어음향 디자인 / Band Rehearsal Room
좁은 공간에서 연습하게 되는 경우가 많은데, 대 공간과의 소리느낌의 환경차이를 줄여줘야 한다. 또한 내부로부터 외 부로의 소리 전달을 적절하게 차단하는 설계도 필요하다. 육면체의 좁은 공간내부에서 발생하는 음향적인 장해도 적절 하게 극복해야 한다. 대다수가 좁은 공간을 사용하게 되는데, 좁은 공간은 음압의 상승이 높아지기 때문에 지속적으로 오래 노출되면 당장은 못 느껴도 조기에 난청을 겪을 확률이 높으므로 적절한 내부 흡음 및 음향개선(Acoustics Treatment)을 통해서 공간을 기능적인 것뿐만 아니라 건강과 안전 면에서도 배려하는 디자인을 의미한다.
로비소음처리 디자인 / Lobby Room Noise Control Design
건물 로비의 특성상 천정이 높고 소리반사가 쉬운 재질들로 마감 되어있기 때문에, 로비는 쉽게 울림이 생기며 소음 환경으로 변한다. 기본적으론 대화가 원활해야하고, 더 나아가서는 정서적으로 편하고 안정적인 환경을 이루어야 한 다. 바닥면적을 유지하면서도 벽이나 천장에 흡음 구조를 만들어서, 좀 더 많은 사람이 목청을 높이지 않고도 편안하게 대화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야 할 것이다.
실내건축업체(인테리어시공업체) 현장설명회 / Orientation
인테리어 설계와 시공사를 공모하는 과정에서 건축주로부터 할 수 있는 중요한 제시이다. 실내건축 업체들에게 음향 적인 요점들을 충분이 주지함으로, 인테리어 설계에 건축음향적인 대비를 충실이 할 수 있게 배려하는 설명회이다. 혹 은 전반적인 구조나 특징적인 부분들을 완성해놓고 시공만 입찰을 하는 방법도 예산을 줄이는데 큰 도움이 될 것이다.
실내건축업체(인테리어시공업체) 현장감리 / Supervision
실내건축업체의 현장공사에서 공간(건축)음향적인 부분의 현장 감리를 수행한다. 실내건축 즉 인테리어를 실행함에 있어서 음향이 제시하는 효율성을 극대화하는 정밀도를 무시해서는 안 된다. 특히 소음진동방지(Noise &Vibration Control)에 관한 시공부분은 아무리 설계가 좋아도, 시공상 현실을 챙기지 못하면 최종결과는 의도와는 거리가 있는 것 이다. 밀실하게 해야 하는 부분,공기층을 정확히 확보해야 하는 부분, 떨림이 있어서는 안 되는 부분 등 현장에서 관리 감독해야만 하는 중요한 이유들이다.
기존공간 공간(건축)음향 개선 디자인 / Renovation
신축이 아닌 기존공간의 건축 음향적 문제를 개선하는 설계이다. 생각보다 많은 기존 공간(강당, 문화예술 회관, 체육 관 등)들이 음향장해를 겪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실재로 이런 것을 공간(건축)음향적으로 개선하는 것은 사운드 시 스템으로 개선하려 하는 것보다 적은 비용으로 몇 배의 효과를 더 볼 확률이 높은 것이다. 오디오적으로 한계가 있는 음 향 개선을 건축음향개선으로 극복하는 것은 투자대비 효과를 극대화 하는 분명한 일이 됨과 동시에 순간적인 해결이 아 니라 안정적이고도 근본적인 해결책인 것이다.